개요 Harbor와 같은 사설 이미지 저장소에 컨테이너 이미지를 푸시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소개하겠다. Harbor가 설치되었다는 가정이며, 다른 이미지 저장소를 사용하여도 된다. ( 추 후에 설치방법도 다루겠다. ) 이미지 빌드도구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도커로 예시를 작성할 것이다. 다른 이미지 도구들(containerd,nerdctl, podman 등)도 방법은 비슷하기 하다. 이미지 다운로드 먼저 푸시할 예시 이미지를 도커 허브에서 pull 한다. ( 준비한 이미지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 docker pull ${이미지명} 이미지 확인 dokcer images 이미지명 변경 컨테이너 이미지명을 통해 레지스트리로 푸시되기 때문에 Harbor의 엔드포인트가 추가된 정보로 이미지명을 변경한다. docker..
개요 평소 리눅스 서버에서 인프라 작업을 하거나 옵시디언 노트에서 vim 키바인딩, vsCode에서도 vim 플러그인 정도를 사용하고 있어 vim에 어느 정도 익숙해져 있었다. 하지만, 스프링 자바 개발만큼은 인텔리제이가 충분히 훌룡하다고 생각이 들어서 개발에까지는 사용하고 있지 않았다. Emacs 같은 좋은 툴을 이용해서 vim으로 모든 화면을 제어하면서 사용한다면 작업 간의 스위칭이 줄어들어 엄청난 효율이 있다고 하는데, 솔직히 나는 그냥 멋있어서 사용하기 때문에 vim 설정에 그렇게 시간을 쏟아붓기는 싫다. 그냥 좋은 에디터에서 vi 플러그인등을 이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정신건강에도 좋고 효율적이라는 생각이다. 그러다가 intelliJ에서 ideavim에서 평소 인텔리제이 IDE에서 많이 사용하는 액..
4-1 전송오류 검출 - 페리티검사 (parity check) 비트 블록의 끝에 한 비트의 0 또는 1을 추가하여 비트 블록의 1의 개수가 홀수나 짝수가 되도록 하는 기법 *패리티비트 =추가된 0 또는 1 의 한비트 장점 : 오류를 간단히 할수있다 단점 :짝수개의 오류가 발생하면 오류 검출 불가능 -블록합 검사(blocksum check) 여러 개의의 비트 볼록에서 패리티 검사를 한후 패리티 비트를 생성하고 이러한 비트의 값의 비트볼록을 블록합검사 오류 1개일떄 : 오류검출 O , 위치 파악 O 오류 2개일떄 : 오류검출 O , 위치 파악 X 오류가 행과 열일때 : 오류 검출 X 위치파악 X -순환중복 검사 (CRC: Cyclic Redundancy Check) 가장 성능우수 ,집단오류 (burst er..